반응형

CNN 2

[모두를 위한 딥러닝 시즌1] Lec11-02. ConvNet Max pooling 과 Full Network

저번 시간에는 CNN의 기본적인 구조와 어떻게 CNN을 이용한 모델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. 이번에는 CNN 모델에 이미지의 사이즈를 줄여주는 sub sampling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. 위의 그림과 같이 이 기법은 "Pooling"이라고 불린다. input으로 들어온 데이터에 pooling을 적용하면 그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. Pooling에는 Max pooling (가장 큰 값만 고름) Average pooling (receptive field 안의 평균값을 이용) Stochastic pooling Cross channel pooling 등이 있다. 강의에서는 max pooling을 예시로 살펴본다. CNN의 필터와 비슷하게 여기에도 필터가 존재한다. receptive fi..

[모두를 위한 딥러닝 시즌1] Lec11-01. ConvNet의 Conv 레이어 만들기

이제 우리는 머신러닝의 기본 개념과 딥러닝의 기초 그리고 모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금까지 발전해온 다양한 기법들을 알게 되었다. 어떤 모델이든 우리의 상상력만 더해진다면 충분히 만들 수 있다고 교수님이 강의에서 말하신다. 당연히 오랜 기간 연구를 걸쳐오면서 CNN, RNN 등 많은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한 모델들이 생겨났다. 남은 11강, 12강에서는 가장 기초과 되는 CNN과 RNN의 구조를 알아본다. CNN은 고양이가 이미지를 인식할 때 이미지에 따라 특정 뉴런만 반응하는 것을 보고 만들어진 인공 신경망이다. 아이디어는 이미지 파일에서 특정 사이즈의 필터를 이용하여 사이즈를 축소시켜 나가는 것이다. 필터가 무엇이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자. 특정 사이즈의 필터를 정의하면, 몇 칸을 건너뛰면서 필터..

728x90